[신진수 / 환경부 물통합정책국 국장] <br />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입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지난주에 인천 공촌정수장 활성탄 여과지에서 유충이 발견되었고 흘러갔다는 개연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다른 활성탄 여과지에도 긴급 점검할 것을 조사하였고 오늘 그 조사 결과에 대해서 브리핑을 하고자 합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는 최근 인천 지역 수돗물 민원의 원인으로 지목된 활성탄지가 설치된 전국 정수장 49개 소에 대해서 지난 7월 15일부터 7월 17일까지 긴급점검을 실시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 결과 인천 공촌, 부평정수장을 포함한 7개 정수장에서 유충이 소량 발견되었고 12개 정수장은 방충망 미설치 등 운영상 문제가 지적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인천 이외의 지역은 활성탄지 표층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지만 정수장 후단 배수지와 수용과에서는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고 유충 발견 이후 즉시 활성탄 교체 또는 세척, 오존 조치를 취하는 등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활성탄지 외에 정수장 유출 부분과 배수지에 거름망을 설치해서 확인 중이나 현재까지 유충 등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문제가 지적된 정수장은 7월 23일까지 보완 조치를 완료하고 그 사항을 환경부에 보고하도록 조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인천 수돗물 유충의 발견 원인을 정수장 내 활성탄지에서 부하된 유충이 걸러지지 않고 정수장 배수지를 거쳐 가정까지 공급된 것으로 유전자 분석 결과를 통해 지난 18일 밝혀낸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공촌과 부평정수장 계통에서의 유충의 추가 발생은 차단됐으며 아직까지 급수 배수 관로상에 남아 있는 유충만 배출되면 문제가 해소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덧붙여서 전국 일반 정수처리장 435개 소 역시 지난 7월 17일부터 긴급 전수조사를 실시하였고 금주 중에 완료해서 정수장 안전관리 강화에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7월 20일까지 인천 외의 타 지역에서도 수돗물 벌레 유충이 발견됐다는 민원이 언론에 보도되어 지자체와 환경청, 지원센터 등이 공동으로 현장 조사한 결과 수돗물 공급 과정에서 문제는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서울의 경우는 오피스텔 욕실 바닥에서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수돗물에서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배수구 등 외적 요인을 통한 발생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의 경우에는 파리, 모기 유충이 발견되었으나 조사 결과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0072111053827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